<p></p><br /><br />소득 하위 88% 국민에게 1인당 25만 원씩 주는 5차 재난지원금 신청이 어제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지원금 신청이나 접수를 도와준다는 문자 메시지를 받은 분들도 많은데요. <br> <br>문제는 이런 문자 상당수가 개인·금융정보를 가로채려는 스미싱 문자라는 겁니다.<br> <br>어떻게 하면 스미싱 문자를 걸러낼 수 있을지 방법을 알아봤습니다. <br> <br>앞서 재난지원금이 지급될 때마다 스미싱 문자가 기승을 부렸는데요. <br> <br>대표적인 게 은행이나 카드사를 사칭하는 방식입니다.<br> <br>문자 앞머리에 (광고)라는 표시가 있고, 인터넷 접속 링크를 누르게끔 유도하는 게 특징인데요. <br> <br>진짜 카드사가 보낸 문자와 어떻게 다를까요. <br> <br>지원금 신청방법, 고객센터 번호 등이 포함돼 있지만, 스미싱 피해를 막기 위해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이렇게 명시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정부 기관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도 많은데요. <br> <br>발신자가 국세청이나 기획재정부로 돼 있거나, 코로나19의 영문명이 들어간 접속 링크가 보인다면 일단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.<br> <br>[행정안전부 관계자] <br>"정부 내에서 국민지원금 대상자 알림 여부를 보내는 곳은 국민 , 비서가 유일하며 기재부나 국세청 등 다른 부처 명의로 보내고 있지 않습니다." <br> <br>행정안전부의 국민비서 서비스 '구삐'를 통해 재난지원금 알림 서비스를 신청하면 이런 메시지가 오는데요. <br> <br>첨부된 접속 링크로 들어가도 국민지원금 사용처에 대한 안내만 나오고, 개인·금융정보 입력을 요구하지 않습니다. <br><br>요즘은 토스나 카카오뱅크 같은 핀테크 앱으로도 재난지원금 신청하는데요. <br> <br>이때도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 접속 링크를 누르는 방식이 아니라, 해당 앱을 열고 들어가서 본인 인증과 개인정보 수집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. <br> <br>더 궁금한 점은 팩트맨, 제보 부탁합니다. <br><br>연출 편집 : 이혜림 PD <br>구성 : 박지연 작가 <br> <br>[팩트맨 제보 방법] <br>-카카오톡 : 채널A 팩트맨 <br>-이메일 : factman.newsa@gmail.com<br /><br /><br />권솔 기자 kwonsol@donga.com